바코드(barcode)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코드로, 주로 제품의 포장지에 인쇄된다. 현재 제품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바코드가 대부분의 제품 포장지에 인쇄되어 계산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때 RFID(극소형 칩에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가 반짝 뜨면서 RFID가 모든 상품의 표시를 대체할것이라 했지만 너무 비싼 가격탓에 바코드를 대체하지는 못하고 있다.
<바코드>
<RFID코드>
하지만 최근 바코드가 아닌 QR코드를 많이 사용한다. QR코드는 저장 면적에 제한이 없다. 1차원 바코드 기준으로 최대 표현할 수 있는 정보량은 15자 정도 이지만, 같은 면적에 QR코드는 1차원 바코드의 100배 이상의 정보를 삽입할수 있기 때문에 QR코드를 사용한다.
QR은 Quick Response이다. 직역하면 빠른 응답이라는 뜻이 되는데,1994년 일본 덴소웨이브社가 개발했다. QR코드를 개발하고 등록할당시 1994년 일본 Toyota 자동차의 자회사인 덴소웨이브社T는 oyota 자동차만의 전용 차 키와 부품을 구별하고자 개발하면서 각 곳에 코드를 사용하였다.특허권을 가지게 된 덴소웨이브社는 이 QR 코드에 대한 특허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전세계 누구든 사용할수 있게 되었다.
<QR코드>
종전에 말한데로 바코드는 기본적으로 담을수 있는 정보가 매우적어 제품에 계산이나 확인,Stock정보들만 확인 가능했다.그러나 QR코드는 2차원으로 가로,세로를 최대한 활용하여 숫자 최대 7098자,문자최대 4,296자까지 넣을수 있다.
그리고 사진,동영상등에 대한 정보도 담을수 있어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확인한다면 누구나 그정보를 확인할수 있다.하지만 이러한 QR코드도 단점은 있다. 보안에 취약한것인데, 악성코드를 심거나 19금 유해정보등을 담을수 있는것이다.한마디로 우리가 받는 택배안에 다른내용물을 집어넣는것이다.
또한 QR코드는 누구나 쉽게 만드는게 가능하다.포털사이트에서 'QR코드 만들기'를 검색하면 쉽게 찾을수 있다.
'고물's IT Tip > IT & Discov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국면에선 지구온난화 (0) | 2017.06.25 |
---|---|
카이견(가이견) (0) | 2017.06.22 |
애플 홈팟(apple homepod) (0) | 2017.06.07 |
두바이 로봇경찰 (0) | 2017.06.02 |
4차산업혁명의 T맵 (0) | 2017.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