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쿠폰제
본문 바로가기
Hot news

낚시 쿠폰제

by 김대표 2017. 11. 22.

 

낚시를 다녀보신분이나 아니면 바다가 있는 곳이라면 흔히 볼수 있는 풍경이 있습니다.다름아닌 쓰레기 더미 인데요.수도권 국민 낚시터인 시화방조제만 가봐도 가관입니다.혹자는 시화 쓰레기 방조제로 불릴만큼 상황은 심각합니다.시화방조제가 낚시터가 아니지만 지자체에서 그냥 묵인하는 만큼 시화 낚시인들은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면 안되는게 맞는것이죠.

 

 

 

 

 

 

낚시쿠폰제

 

 

 

 

 

하지만 요즘은 그나마 낚시터에 쓰레기 버리는 분위기가 많이 바뀌어, 본인 쓰레기는 본인이 가져가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아직까진 부족합니다.유명한 낚시포인트에는 주로 갯지렁이 보관통,낚시줄,낚시바늘,낚시용품쓰레기가 주를 이룹니다.그래서 어업을 하시는 분들이 낚시꾼들을 제일 싫어한다고 하네요.(낚시 포인트는 주로 선착장 주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민들의 배와 동선이 겹치거든요.)

 

 

 

근래 2017년 11월 해양수산부는 낚시쿠폰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일일 낚시권'으로 해서 가격을 5000원정도로 정해진 기간에 특정지역에서만 낚시할수 있는 쿠폰이라 할수 있는데요.이는 낚시면허제의 일종으로 일정금액을 지불하고 낚시를 하는 미국식 피싱 라이선스와 그 일맥을 같이 합니다.1970년때부터 낚시인들과 정부는 꾸준히 이 낚시에 대해서 논의를 했는데요.초반에는 낚시면허제가 등장했으나 낚시인들의 반발로 무산됐고,90년대는 연간 1만원 사용료를 내고 낚시하는 방법을 모색했으나 이 방안도 불발됐습니다.

 

이 쿠폰을 판매한 금액은 낚시 행위로 오염된 해양환경개선과 치어를 방류하여 수산자원을 회복하는 자금으로 사용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낚시인들은 꾸준히 늘어나는 상황이구요.낚시인들은 지난해 700만명으로 연안근처 어획량 13%를 낚시인들이 가져가고 있다고 합니다.그만큼 어업인들과도 충돌하기 마련입니다.또한 낚시인들의 해양오염과 특정 어종 포획이 심각하리만큼 늘어나는 시점에서 정부가 신경을 쓰지 않을수 없을 것입니다.혹자는 해양오염의 주된 오염원인은 낚시인들이 아니라 낚시인을 위장한?  캠핑하러 온 사람이 많다라고도 합니다.

 

 

 

 

이 낚시쿠폰제는 면허와는 달리 즉석에서 쿠폰을 사서 낚시하는 방법인데요.이에 대한 관리인력,지자체의 자금관리,밤낚시 문화,민물낚시등 여러 문제가 아직 산재해 있기 때문에 필자는 아직 시기 상조라 봅니다.

 

 

 

현재 해양수산부도 정해진것은 없다라고도 합니다.하지만 내년에는 우리 낚시 실정에 걸맞는 제도에 관한 논의가 있다고 하니 조만간에 그 어떠한 대안이 나올것이라 생각됩니다.

 

 

 

 

 

 

낚시 쿠폰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Hot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한국국제 낚시 박람회  (0) 2018.02.24
사업 부도시 건강보험료 내야 하나요?  (0) 2017.12.13
2018년 최저임금  (0) 2017.11.15
추석연휴 은행업무시간  (0) 2017.09.28
스포츠 선수 복장  (0) 2017.09.14

댓글